본문 바로가기
경제 공부

트럼프의 관세 발언에 흔들린 월가 - 기술주 중심으로 급락한 10월 10일 미국 증시

by winni-w 2025. 10. 13.

이번 중국 출장으로 블로그를 쓰질 못했는데요. 그러면서 미국 주식시장도 챙겨보질 못했었어요. 이번에 복귀하기 전에 나스닥을 봤는데 10월 10일 금요일에 기술주 중심으로 급락했더라구요. 그래서 급락한 주요 원인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10월10일 관세폭탄

 

 

목차
1. 미국, 중국 무역 긴장 재고조
2. 고평가 우려/과열 경고
3. 미국 정부 셧다운, 경제 지표 공백
4. 기술주 중심의 타격
주목할 포인트 4가지

 

1. 미국, 중국 무역 긴장 재고조

  • 당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100% 추가 관세 부과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시장에 큰 충격을 안겨줬습니다. 특히 중국이 희토류 수출 제한 조치를 강화에 대한 반응으로 이런 관세 위협이 제기된 것입니다. 이는 글로벌 공급망 및 기술 산업에 대한 우려를 자극했습니다.
  • 이 관세 위협 발표 후에 나스닥은 약 -3.6%, S&P 500은 약 -2.7%, 다우지수는 약 -1.9% 모두 크게 하락하게 되었습니다.

 

2. 고평가 우려/과열 경고

  • 2025년 들어 미국 증시는 강세 흐름을 이어갔습니다. 특히 AI와 반도체 중심으로 대형 기술주들이 주도해왔습니다. 그런 가운데 시장 참여자들 사이에 지나치게 높은 밸류에이션에 대한 우려가 누적되었습니다.
  • JP모건 체이스의 제이미 다이먼 CEO도 시장 조정 가능성에 대해 경고한 바가 있습니다.

 

 

3. 미국 정부 셧다운, 경제 지표 공백

  • 당시 미국 정부는 연방 예산 문제로 셧다운 상태였고, 이로 인해 일부 경제지표 발표가 지연되는 등 거시경제 판단에 필요한 정보의 불확실성이 커져 있었습니다.
  • 경제 데이터가 부재하자 시장은 소화력이 낮아지고, 외부 충격(관세 위협 등)에 더 민감하게 반응했습니다.

 

4. 기술주 중심의 타격

  • 관세 위협과 무역 불확실성은 특히 글로벌 공급망에 의존도가 높은 기술주에 타격을 주게 되었습니다. 엔비디아, AMD, 테슬라, 아마존 등 기술 대형주들이 이날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 기술주가 시장에는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에 이 부문의 하락이 지수 전반을 끌어내렸다고 볼 수 있습니다.

 

 

주목할 포인트 4가지

  1. 트럼프의 발언이 실제 정책으로 이어지는지..
  2. 중국의 보복 반응
  3. Q3, Q4 실적 시즌에서 기업들이 무역 리스크를 어떻게 언급하는지
  4. 연준, 금리 관련 신호 (금리, 유동성 변수는 위험자산 회복력에 영향을 끼침)

 

 

제가 볼때 이번 급락은 정치적으로 관세로 인한 무역 쇼크라고 생각해서 패닉 성격의 조정에 가깝다고 봅니다. 그래서 조정이 왔다고 생각해 추가 매수를 해볼 생각입니다. 물론 관세 정책이 실제로 시행하게 되면 중국의 보복 반응이 나올지 모르겠지만 중장기적으로 하락할 것 같긴 합니다만... 단타가 아닌 장기 투자 관점에서 투자를 하기 때문에 두려움은 없습니다.